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2년 청년소득공제 장기펀드 알아보기

by 방구석롱이 2022. 3. 10.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방구석 롱이입니다.

얼마 전, 청년희망적금 가입이 끝났는데요

올해 7월 이후 재출시한다는 얘기도 있어요

 

 

그전에, 

정부가

청년소득공제 장기펀드와 청년 내일 저축계좌 등

정책상품이 아직 남아있는데요

 

오늘은 청년소득공제장기펀드에 대해서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 청년소득공제장기펀드 지원대상

만 19세 ~ 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

 

# 가입기준은

총 급여 5,0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3,800만 원 이하

청년도 가입할 수 있습니다.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됩니다.

 

또, 가입 후 총 급여액 8,000만 원

(종합소득금액 6,000만 원) 초과할 경우

해당 과세기간은 소득공제에서 배제됩니다.

 

청년희망적금 기준은 총 급여 3,600만 원이었는데요

총급여 기준 때문에,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지 못한 분들은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를 생각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단,  주의하실 점은

펀드라는 상품의 특성상 

원금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평소 펀드에 관심이 있으셨던 분들이라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잘 알지 못한 분들은,

먼저 꼼꼼히 알아보시고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 가입기간은 

최소 3년에서 최대 5년

2022년 1월 1일부터 ~  2023년 12월 31일 안에

장기펀드에 가입하는 경우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아직 가입 일정과 상품 출시는 되지 않은 것 같은데요

정확한 발표가 나오면

다시 알려드리겠습니다!

 

계약기간 ( 3~5년 ) 동안

연 600만 원을 납입할 수 있습니다.

 

계약기간( 3 ~ 5년) 동안 

펀드 납입액의 40%를 소득 공제해주며

월 납입한도는 없습니다.

 

한 번에 600만 원을 넣어도 가능하지만,

매달 적금처럼 일정액을 적립하는 방식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최대 연 240만 원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 가입자가 몰려있는 과세표준(1,200만 원~4,600만 원)

세율 15%를 적용하게 되면

연간 36만 원의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3년간 펀드 가입을 유지하면 

총 108만 원의 환급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만기 수령액은 

(연 600만 원 납입기준)

납입액(최대 1,800 ~ 3,000만 원) + 펀드 운용손익

 

다만,

40%는 국내 주식에 투자해야 하고

가입 후 3년 이내 해지하거나, 인출 혹은 양도할 경우

감면세액분인 납입금액의  6%가량 추징된다고 하니, 

주의사항도 꼭 참고해주세요

 

정부는 청년희망적금과 청년 소장펀드 

중복가입을 검토 중에 있다고 합니다.

 

부족하지만,

제가 정리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 눌러주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