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방구석 롱이입니다.
얼마 전, 청년희망적금 가입이 끝났는데요
올해 7월 이후 재출시한다는 얘기도 있어요
그전에,
정부가
청년소득공제 장기펀드와 청년 내일 저축계좌 등
정책상품이 아직 남아있는데요
오늘은 청년소득공제장기펀드에 대해서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 청년소득공제장기펀드 지원대상
만 19세 ~ 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
# 가입기준은
총 급여 5,0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3,800만 원 이하인
청년도 가입할 수 있습니다.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됩니다.
또, 가입 후 총 급여액 8,000만 원
(종합소득금액 6,000만 원) 초과할 경우
해당 과세기간은 소득공제에서 배제됩니다.
청년희망적금 기준은 총 급여 3,600만 원이었는데요
총급여 기준 때문에,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지 못한 분들은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를 생각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단, 주의하실 점은 ※
펀드라는 상품의 특성상
원금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평소 펀드에 관심이 있으셨던 분들이라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잘 알지 못한 분들은,
먼저 꼼꼼히 알아보시고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 가입기간은
최소 3년에서 최대 5년
2022년 1월 1일부터 ~ 2023년 12월 31일 안에
장기펀드에 가입하는 경우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아직 가입 일정과 상품 출시는 되지 않은 것 같은데요
정확한 발표가 나오면
다시 알려드리겠습니다!
계약기간 ( 3~5년 ) 동안
연 600만 원을 납입할 수 있습니다.
계약기간( 3 ~ 5년) 동안
펀드 납입액의 40%를 소득 공제해주며
월 납입한도는 없습니다.
한 번에 600만 원을 넣어도 가능하지만,
매달 적금처럼 일정액을 적립하는 방식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최대 연 240만 원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 가입자가 몰려있는 과세표준(1,200만 원~4,600만 원)
세율 15%를 적용하게 되면
연간 36만 원의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3년간 펀드 가입을 유지하면
총 108만 원의 환급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만기 수령액은
(연 600만 원 납입기준)
납입액(최대 1,800 ~ 3,000만 원) + 펀드 운용손익
다만,
40%는 국내 주식에 투자해야 하고
가입 후 3년 이내 해지하거나, 인출 혹은 양도할 경우
감면세액분인 납입금액의 6%가량 추징된다고 하니,
주의사항도 꼭 참고해주세요
정부는 청년희망적금과 청년 소장펀드
중복가입을 검토 중에 있다고 합니다.
부족하지만,
제가 정리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 눌러주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생활지원비 3월 16일부터~ ( + 생활지원비 신청서 ) (0) | 2022.03.15 |
---|---|
장병내일준비적금 알아보기(+가입자격확인서) (0) | 2022.03.14 |
2022년 근로장려금 신청 알아보기 (+ 신청자격조회 방법) (0) | 2022.03.03 |
4분기 소상공인손실보상 신청 방법 알아보기 (0) | 2022.03.02 |
코로나 생활지원비 알아보기 ( + 생활지원비 신청서 ) (0) | 2022.02.25 |